• 0
  • 2
January 26, 2025

인터넷 창에 www.google.com를 입력하면 무슨일이 일어날까?

답변 확인

1. URL 입력

  • 브라우저에 www.google.com을 입력하고 Enter를 누릅니다.
  • 브라우저는 이 주소에 해당하는 서버를 찾기 시작합니다.

2. 서버 찾기 (DNS 조회)

  • 컴퓨터는 www.google.com을 직접 이해하지 못합니다. 대신, IP 주소(예: 142.250.190.78)가 필요합니다.

  • 브라우저는 다음을 순서대로 확인합니다:

  1. 캐시 확인: 브라우저, 운영 체제, 또는 라우터가 이미 IP 주소를 알고 있는지 확인
  2. DNS 서버 요청: 캐시에 없으면,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의 DNS 서버에 문의
  • 최종적으로 www.google.com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찾습니다.

3. 서버와 연결하기 (TCP 핸드셰이크)

  • 이제 브라우저는 찾은 IP 주소로 Google 서버에 연결을 시도합니다.
  • 연결은 3단계로 이루어집니다:
  1. 브라우저: "나 연결해도 될까요?" → SYN
  2. 서버: "좋아요, 연결하세요!" → SYN-ACK
  3. 브라우저: "그럼 연결 시작합니다!" → ACK

4. 보안 연결 설정 (HTTPS)

  • Google은 HTTPS를 사용하기 때문에,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해 추가 작업을 합니다:
  1. 브라우저는 Google의 보안 인증서를 확인해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인지 확인합니다.
  2. 브라우저와 서버가 데이터를 암호화할 방식을 협의합니다.

5. 페이지 요청

  • 브라우저는 Google 서버에 요청을 보냅니다.
    • "홈페이지 파일을 보내주세요!"
    • 이것을 HTTP 요청이라고 합니다.

6. Google 서버가 응답 준비

  • Google 서버는 요청을 받고 작업을 시작합니다:
  1. 필요한 데이터를 찾거나 계산
  2. HTML, CSS, JavaScript, 이미지 등 필요한 모든 파일을 준비
  3. 파일을 묶어서 브라우저로 보낼 준비를 합니다.

7. 브라우저로 응답 보내기

  • Google 서버가 HTTP 응답을 브라우저로 보냅니다:
    • 상태 코드: "200 OK" (정상 처리)
    • 파일: HTML, CSS, JavaScript, 이미지 등이 포함된 데이터

8. 브라우저가 페이지 구성 (렌더링)

  • 브라우저는 받은 데이터를 사용해 화면에 페이지를 표시합니다:
  1. HTML: 페이지의 뼈대를 만듭니다.
  2. CSS: 색상, 글꼴, 레이아웃을 추가합니다.
  3. JavaScript: 동적인 기능을 활성화합니다.
  4. 이미지와 동영상 등 다른 리소스를 추가로 로드합니다.

9. 페이지 표시

  • 모든 작업이 완료되면 페이지가 화면에 표시됩니다.
  • 이제 스크롤하거나 클릭하며 페이지와 상호작용할 수 있습니다.

추가: 속도를 높이는 기술들

  • 캐싱: 자주 사용되는 파일을 저장해 다음 요청 시 더 빠르게 불러옵니다.
  • CDN(Content Delivery Network): 가까운 서버에서 리소스를 제공해 로딩 시간을 단축합니다.
  • 로드 밸런싱: 여러 서버로 트래픽을 나눠 서버 과부하를 방지합니다.

결론

  1. URL을 입력합니다.
  2. 브라우저가 DNS를 통해 서버 IP를 찾습니다.
  3. 서버와 안전한 연결을 만듭니다.
  4. 브라우저가 서버에 페이지를 요청합니다.
  5. 서버가 데이터를 준비해 응답합니다.
  6. 브라우저가 데이터를 받아 화면에 표시합니다.

이 모든 과정이 몇 밀리초 안에 이루어집니다! 🚀

Top comments (2)

  • DavidYang2월 19일

    우와 댓글이다~

  • Olivia2월 19일

    오오 ~~ :) 너무 글 좋네용